2025/08 4

부업이 처음이라면, 애드센스

— 애드센스 수익 구조‧플랫폼 선택‧도메인 세팅‧실전 배치까지1. 애드센스로 어떻게 돈을 버는걸까? 블로그에 사람이 방문 -> 애드센스 스크립트에 광고 노출 or 클릭 -> 수익 적립 -> 월 1회 지급의 형태입니다. 수입은 클릭(CPC) 또는 노출(CPM) 두 방식이 핵심이고, 최종 성과 지표는 RPM(1,000PV당 수익) 입니다. CPC(클릭당 과금)광고 클릭 1회마다 광고주가 지불 → 그 일부가 수익으로 잡힘.수익 = 유효클릭수 × 유효CPC유효CPC는 국가(트래픽 출처), 주제, 사용자 의도에 따라 큰 편차.CPM(노출당 과금)1,000회 노출 기준 단가.수익 = (유효노출수 ÷ 1,000) × 유효CPM여기서 유효노출은 보이는 노출을 가중해 계산되는 경우가 많음(가시성 낮으면 실제 집행/수익이..

디지털 노마드? 나도 할 수 있을까 – 12년차 요리사의 실행기

안녕하세요, 삶의 균형을 찾아 디지털 노마드에 도전하는 korea-insight입니다.저는 고등학교 시절부터 칼을 잡아 레스토랑·호텔 주방에서 11년째 일하고 있는 현직 요리사입니다.대학은 직장인 전형으로 4년 동안 휴무날마다 등교해서 겨우 졸업했고, 지금은 해외의 주방에서 새벽부터 뒤척이는 삶을 살고 있죠.열심히 달렸지만 월급명세서를 보고 계산기를 두드려 보니 이런 질문이 스스로에게 돌아왔습니다.“이 연봉으로 가족을 편안하게 먹여 살릴 수 있을까?”“더 나이가 들기 전에 창업해야 하나?”이 고민 끝에, 노트북 한 대로 장소·시간 제약 없이 돈을 버는 디지털 노마드들의 이야기를 접했습니다. 월급에 +α만 더해도든든하겠다는 생각에 블로그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1️⃣ 디지털 노마드란? 내용정의노트북·와이파이..

디지털 법인화, 이득일까, 손해일까?

― “상속·세금·브랜드 확장”이 동시에 고민될 때 "법인화"를 생각하실 거라 생각합니다.앞선 글에서목록 작성 → 유언장 → 정산 → 세금 신고 개인 명의 루트를 전부 다뤘습니다.이번 편은 한 걸음 더 나아가 “아예 법인으로 돌려 두면 생기는 효과”를 실전 관점으로 정리합니다.핵심!누가 법인화를 고려해야 하나?개인과 법인, 세금·상속·운영 리스크가 어떻게 다를까?이미 개인 명의로 굴러가는 채널·블로그를 “손해 없이” 법인으로 옮기는 절차는?1️⃣ “법인화를 고민해 볼 만한 사람” 자가 체크리스트 체크항목올해 유튜브·블로그·전자책·앱스토어 순익이 3,000만 원을 넘는다 ⬜2년 안에 수익 2배↑ 목표(스폰서·B2B 계약 예정) ⬜장비·편집·촬영·인건비 등 비용이 연 1,..

디지털 자산 상속세·양도세, 어디까지 내야 하나요?

― 코인‧애드센스‧저작권 수익까지, 신고·납부 가이드 앞선 글에서 코인, 유튜브, 애드센스 같은 디지털 자산을 상속받는 절차를 정리했죠.정산을 받는 것까진 끝났는데… 거기서 끝이 아닙니다.모든 자산 취득에는 따라붙는게 있습니다. "세금" 구글 애드센스 수익이든, 업비트 비트코인이든, 저작권료든 —정산받은 순간부터 과세라는 단어가 따라붙습니다.세금 신고를 놓치면 가산세가 붙고, 추후 세무조사에서도 문제될 수 있어요.이번 글에서는 디지털 자산의 과세 기준, 신고 방법, 자주 하는 실수까지 모두 정리해드립니다.특히 현금화 시점에 따라 세금이 더 나올 수 도 있으니 꼭 끝까지 읽어주세요!! 🧾 상속 후, 어떤 자산에 세금이 붙나요?디지털 자산은 대부분 ‘기타소득’이나 ‘상속세’로 분류됩니다.정확한 기준은 아래..